ChatGPT에게 엑셀 함수 설명 받기 - AI로 배우는 엑셀 기초
VLOOKUP이 뭔지 모르겠다고요? AI가 어려운 엑셀 함수를 쉽게 설명해주고 실무 예제까지 보여드립니다.
AI에게 엑셀 함수 설명 받기
엑셀에는 정말 많은 함수가 있어요. SUMIFS, VLOOKUP, INDEX-MATCH... 들어본 적은 있는데 정확히 어떻게 쓰는지 헷갈리시죠? 매번 인터넷에서 검색하거나 도움말을 찾아보는 것도 번거롭고요.
이제 AI에게 물어보세요! 복잡한 함수도 쉬운 말로 설명해주고,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예제까지 만들어줍니다. 마치 옆자리에 엑셀 전문가가 앉아서 알려주는 것처럼요.
이번 글에서는 AI를 활용해서 엑셀 함수를 배우고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함수 이름만 알 때, 상황만 설명할 때, 복잡한 수식을 이해하고 싶을 때 등 다양한 상황별로 AI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함수 이름만 알 때
함수 이름은 알고 있는데, 정확히 어떻게 쓰는지 헷갈릴 때가 있죠. 예를 들어 SUMIFS 함수를 써야 하는데, 인수를 어떤 순서로 넣어야 하는지, 조건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기억이 안 날 수 있어요.
이럴 때 AI에게 간단히 물어보면 바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움말 창을 뒤적일 필요도, 인터넷을 검색할 필요도 없어요.
질문 예시:
"엑셀의 SUMIFS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줘"
AI 답변 예시:
SUM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셀들의 합계를 구합니다.
구문: =SUMIFS(합계범위, 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예제:
=SUMIFS(D2:D100, B2:B100, "서울", C2:C100, ">50000")
→ B열이 "서울"이고 C열이 50000보다 큰 행의 D열 값을 합산
보세요! 함수의 구문과 실제 사용 예제를 바로 알려줍니다. 특히 좋은 점은 단순히 문법만 알려주는 게 아니라, 실제 데이터로 어떻게 쓰는지 예시를 함께 보여준다는 거예요. "서울"에서 5만원 이상 구매한 고객을 찾는다는 실무적인 상황을 바로 이해할 수 있죠.
2. 상황 설명으로 함수 찾기
더 좋은 건, 함수 이름을 몰라도 괜찮다는 거예요! 하고 싶은 작업만 설명하면 AI가 알맞은 함수를 찾아줍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엑셀에 날짜 데이터가 있는데, 거기서 요일만 뽑아내고 싶다고 해봅시다. 어떤 함수를 써야 할지 모를 때가 많죠. 날짜 관련 함수가 여러 개 있는데 (DATE, DAY, MONTH, YEAR...) 요일을 추출하는 건 어떤 함수인지 헷갈립니다.
이럴 때 AI에게 상황만 설명하면 돼요.
질문 예시:
"날짜 데이터에서 요일만 추출하고 싶어. 어떤 함수를 써야 해?"
AI 답변:
=TEXT(A2, "dddd") // 월요일, 화요일 형식
=TEXT(A2, "ddd") // 월, 화 형식
=WEEKDAY(A2) // 숫자로 반환 (1=일요일)
놀랍지 않나요? 함수 이름을 몰랐는데도, AI가 TEXT 함수와 WEEKDAY 함수를 알려주고, 심지어 3가지 방법을 제시해줍니다. 한글로 "월요일"이 필요한지, 줄여서 "월"만 필요한지, 아니면 숫자로 필요한지까지 고려해서 옵션을 보여주니까 상황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3. 실무 활용 예제
이론만 알아서는 부족하죠.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쓰는지 봐야 감이 옵니다. 실무 시나리오를 AI에게 주면, 필요한 수식을 모두 만들어줍니다.
시나리오: 직원 급여 계산
회사 인사팀에서 매달 급여를 계산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기본급에 수당을 더하고, 세금을 빼고, 보너스 조건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계산을 엑셀로 자동화하고 싶은데, 어떤 함수를 어떻게 조합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AI에게 상황을 설명하면, 각 단계별로 필요한 수식을 다 만들어줍니다.
// 기본급 + 수당 계산
=SUM(B2:C2)
// 세금 계산 (기본급의 3.3%)
=B2*0.033
// 실수령액 계산
=SUM(B2:C2)-D2
// 조건부 보너스 (100만원 이상 시 10% 추가)
=IF(E2>=1000000, E2*0.1, 0)
각 수식이 무엇을 하는지 주석으로 설명까지 달려 있어서, 나중에 봐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단순히 수식만 던져주는 게 아니라 "왜 이렇게 하는지"까지 알 수 있어요.
AI에게 복잡한 수식 설명 요청
반대로, 동료가 만든 복잡한 수식을 받았는데 도대체 뭘 하는 건지 이해가 안 될 때도 있죠. 이럴 때도 AI가 쉽게 풀어서 설명해줍니다.
"이 수식이 뭘 하는 건지 설명해줘:
=IFERROR(VLOOKUP(A2,Data!$A$2:$D$100,4,FALSE),"미등록")"
AI 답변:
이 수식은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1. A2 값을 Data 시트의 A2:D100 범위에서 검색
2. 찾으면 4번째 열의 값을 반환
3. 오류 발생 시 "미등록" 표시
완전 일치 검색(FALSE)을 사용하여 정확한 값만 찾습니다.
VLOOKUP과 IFERROR가 중첩된 복잡한 수식도, AI가 단계별로 나눠서 설명해줍니다. 마치 선생님이 문제를 풀어주듯이 말이에요. 이제 수식을 해독하느라 시간 낭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4. 함수 조합 배우기
질문:
"날짜 범위에서 특정 월의 매출만 합산하려면?"
AI 답변:
=SUMIFS(C:C, A:A, ">="&DATE(2025,3,1), A:A, "<"&DATE(2025,4,1))
또는 더 간단하게:
=SUMPRODUCT((MONTH(A2:A100)=3)*(C2:C100))
5. 실전 질문 템플릿
함수 설명 요청
"[함수명] 함수의 각 인수를 예제와 함께 설명해줘"
문제 해결 요청
"[상황 설명]. 이를 위한 엑셀 함수 3가지를 추천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알려줘"
오류 해결
"이 수식에서 #VALUE! 오류가 나는데 원인이 뭘까?
[수식 입력]"
6. 자주 사용하는 함수 카테고리
텍스트 처리
=LEFT(A2, 5) // 왼쪽 5글자
=RIGHT(A2, 3) // 오른쪽 3글자
=MID(A2, 3, 4) // 3번째부터 4글자
=CONCATENATE(A2, B2) // 텍스트 결합
=TRIM(A2) // 공백 제거
날짜/시간
=TODAY() // 오늘 날짜
=NOW() // 현재 날짜/시간
=DATEDIF(A2, B2, "D") // 날짜 차이(일)
=EOMONTH(A2, 0) // 해당 월 마지막 날
조건/논리
=IF(A2>100, "합격", "불합격")
=AND(A2>50, B2<100)
=OR(A2="A", A2="B")
=NOT(A2="")
조회/참조
=VLOOKUP(A2, Table1, 3, FALSE)
=HLOOKUP(A1, Range, 2, FALSE)
=INDEX(A1:C10, 5, 2)
=MATCH("찾을값", A:A, 0)
7. AI 활용 팁
단계별 질문하기
1단계: "매출 데이터를 지역별로 합산하고 싶어"
2단계: "거기서 상위 5개 지역만 추출하려면?"
3단계: "이걸 자동으로 업데이트되게 만들 수 있어?"
실제 데이터로 질문
"A열에 제품명, B열에 수량, C열에 단가가 있어.
총 매출을 계산하고, 제품별 점유율도 구하고 싶어."
AI 답변:
// D열: 제품별 매출
=B2*C2
// E열: 점유율
=D2/SUM($D$2:$D$100)*100
// 또는 한 번에:
=B2*C2/SUMPRODUCT($B$2:$B$100,$C$2:$C$100)*100
보세요! 열 이름까지 정확히 명시해서 수식을 만들어줍니다.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 넣으면 바로 작동해요. 심지어 절대 참조($)까지 적절히 사용해서, 수식을 아래로 복사해도 문제없이 작동하도록 배려해줍니다.
8. 고급 함수 배우기
배열 함수 (FILTER, SORT, UNIQUE)
// Microsoft 365에서 사용 가능
=FILTER(A2:C100, B2:B100="서울")
=SORT(A2:C100, 3, -1) // 3번째 열 기준 내림차순
=UNIQUE(A2:A100)
XLOOKUP (VLOOKUP의 진화)
=XLOOKUP(찾을값, 검색범위, 반환범위, "없음", 0, 1)
마무리
이제 엑셀 함수가 더 이상 어렵지 않죠? AI를 옆에 두면 마치 엑셀 전문가가 항상 옆에 있는 것 같아요.
함수 이름을 몰라도, 문법이 기억나지 않아도, 복잡한 수식이 이해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AI에게 물어보세요. 쉬운 말로 설명해주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예제까지 만들어줍니다.
AI를 활용하면:
- ✅ 함수 문법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요
- ✅ 복잡한 수식을 쉬운 말로 이해할 수 있어요
- ✅ 상황에 맞는 최적의 함수를 추천받을 수 있어요
- ✅ 실무 예제로 빠르게 학습할 수 있어요
중요한 건 "완벽한 질문"을 하는 게 아니에요. 그냥 하고 싶은 작업을 평소 말하듯이 설명하면 됩니다. "이 데이터에서 저걸 하고 싶은데..."라고 편하게 물어보세요. AI가 알아서 이해하고 도와줄 거예요.
다음 글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서, AI에게 직접 수식을 생성해달라고 요청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함수를 물어보는 것을 넘어서, 복잡한 수식도 자동으로 만들어보는 거죠!